2025년 한국 자동차 산업은 전기차(EV) 중심으로 급격한 변화를 맞이할 전망이다. 글로벌 친환경 정책 강화, 전기차 보급 확대, 자율주행 및 배터리 기술 발전 등 다양한 요인이 자동차 생산 전략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. 이에 따라 현대자동차, 기아, KG모빌리티(구 쌍용자동차), 르노코리아 등 국내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은 전기차 생산량을 대폭 확대하며 시장 변화에 대응하고 있다. 이번 글에서는 최신 데이터를 바탕으로 2025년 한국 자동차 브랜드별 생산량을 예측하고, 각 제조사의 전략을 심층 분석해 본다.
1. 2025년 한국 자동차 산업 주요 트렌드
2025년 한국 자동차 생산량은 친환경차 중심으로 재편될 전망이며, 주요 트렌드는 다음과 같다.
-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 차량 비중 확대: 2025년 한국 자동차 전체 생산량 중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 모델이 차지하는 비중이 55%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.
- 내연기관 차량 축소: 유럽연합(EU)과 북미 시장의 환경 규제 강화로 인해 한국 자동차 제조사들은 내연기관 차량의 생산을 점진적으로 줄이고 있다.
- 해외 생산 확대: 글로벌 전기차 시장 경쟁이 심화되면서 한국 브랜드들은 미국, 유럽 등 주요 시장에서 현지 생산을 강화하고 있다.
2. 2025년 한국 자동차 브랜드별 예상 생산량
브랜드 | 총 예상 생산량 | 전기차 생산량 | 주요 생산 모델 |
---|---|---|---|
현대자동차 | 460만 대 | 220만 대 | 아이오닉 5, 6, 7 / GV70 EV / GV90 EV |
기아 | 370만 대 | 200만 대 | EV3, EV4, EV6, EV9 |
KG모빌리티 | 18만 대 | 9만 대 | 토레스 EVX / 신형 전기 SUV |
르노코리아 | 13만 대 | 7만 대 |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 모델 |
3. 현대자동차: 2025년 총 460만 대 생산, 전기차 220만 대 돌파
현대자동차는 2025년 전기차 생산량을 220만 대 이상으로 확대하며, 친환경차 중심의 라인업을 강화할 계획이다.
▶ 국내 생산: 울산 공장에서 ‘아이오닉 5’, ‘아이오닉 6’에 이어 대형 전기 SUV ‘아이오닉 7’이 본격 생산되며, 제네시스 전기차 모델(GV70 EV, GV90 EV 등)도 국내에서 생산될 예정이다.
▶ 해외 생산: 미국 조지아주에 전기차 전용 공장을 신설하며, 2025년부터 본격 가동된다. 유럽 체코 및 슬로바키아 공장에서도 전기차 생산량을 확대할 예정이다.
4. 기아: 2025년 총 370만 대 생산, 전기차 200만 대 목표
기아는 2025년 총 370만 대의 차량을 생산하며, 전기차 비중을 대폭 확대할 예정이다.
▶ 국내 생산: 화성 공장에서 EV9의 본격적인 양산이 진행되며, 소형 전기 SUV ‘EV3’ 및 중형 전기 SUV ‘EV4’도 새롭게 추가될 예정이다.
▶ 해외 생산: 미국 조지아 공장에서 EV6 및 EV9 생산을 확대하며, 유럽 및 인도 공장에서도 전기차 생산 비중을 늘릴 계획이다.
5. KG모빌리티: 전기 SUV 중심으로 18만 대 생산
KG모빌리티는 2025년 전기 SUV 모델 중심으로 18만 대 이상의 차량을 생산할 것으로 예상된다.
▶ 국내 생산: 평택 공장에서 ‘토레스 EVX’ 양산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며, 추가적인 전기 SUV 모델도 개발 중이다.
▶ 해외 생산: 유럽 시장 진출을 위한 현지 조립 생산(CKD) 방식이 도입될 가능성이 있으며, 동남아 및 남미 시장에서도 전기 SUV 판매를 확대할 계획이다.
6. 르노코리아: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 생산량 13만 대
르노코리아는 2025년 친환경차 생산량을 13만 대로 확대할 계획이다.
▶ 국내 생산: 부산 공장에서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 모델 생산 비중을 늘리며, 유럽 시장을 겨냥한 친환경차 수출이 증가할 예정이다.
7. 2025년 한국 자동차 산업의 데이터 기반 전망
- 전기차 생산 비율 증가: 2024년 45% 수준이었던 전기차 비율이 2025년에는 55~60%까지 증가할 전망이다.
- 내연기관 차량 축소: 글로벌 친환경 규제 강화에 따라 한국 자동차 제조사들은 내연기관 모델의 생산량을 점진적으로 줄이고 있다.
- 해외 생산 확대: 미국, 유럽에서의 현지 생산이 증가하고 있으며, 한국 자동차 제조사들은 전기차 보조금 혜택을 활용하기 위해 현지 공장 가동률을 높이고 있다.
- 배터리 공급망 강화: 전기차 생산 증가에 맞춰 국내외 배터리 생산 공장 투자도 확대되고 있으며, 배터리 재활용 및 친환경 배터리 개발이 핵심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.
8. 결론: 2025년 한국 자동차 산업의 성장과 도전
2025년 한국 자동차 브랜드들은 전기차 생산량을 대폭 늘리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할 계획이다. 현대차와 기아는 각각 220만 대, 200만 대 이상의 전기차를 생산하며, KG모빌리티와 르노코리아도 전기 SUV 및 하이브리드 모델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.
전기차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배터리 기술 개발, 충전 인프라 확충, 친환경 차량 생산 등이 한국 자동차 산업의 핵심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이며, 2025년은 이러한 변화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.